전 시간에 CPU-Z에 대해서 살짝 언급을 했습니다. 하드웨어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는 프로그램인데 굳이 프로그램의 도움 없이도 간단히 윈도우 명령어 입력을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CPU-Z가 훨씬 더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는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만약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이라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면 난감할 것입니다. 그럴때는 망설이지말고 이렇게 진행해 봅시다.
윈도우키+R을 눌러 실행창을 띄웁니다. 입력란에 msinfo32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시스템 정보창이 뜹니다. 시스템 요약 부분을 살펴보시면 OS 이름부터 버전, 시스템 이름 및 메인보드 정보, CPU(프로세서) 정보 등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U(그래픽카드) 정보도 디스플레이 카테고리에서 간단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제조사와 모델명을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cmd는 프롬프트를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 굳이 이것까지 알 필요는 없지만 만약 위의 방법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최후의 수단으로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해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윈도우 시작버튼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PowerShell을 실행하거나 윈도우키+R을 눌러 실행창을 띄우고 cmd를 입력하는 두 가지 루트가 있는데 편한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파워쉘을 사용하는 편입니다.
파워쉘(명령프롬프트)이 실행되었습니다. 활성화된 커서에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systeminfo
그러면 잠시 후 하드웨어 정보를 로딩하게 되고 곧바로 현재 하드웨어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게 됩니다. 형태는 아까 위에서 확인했던 시스템 정보 화면의 내용과 거의 비슷합니다. 이렇게 두 가지의 방법을 사용해서 간단하고 쉬우면서 빠르게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 알아두시면 분명 언젠가 요긴하게 써먹을 날이 분명히 찾아올 것입니다.
댓글로 안내를 받았는데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그래픽 드라이버를 정확하게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검하면 「표준 디스플레이 어댑터」로 표시될수도 있습니다. 이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