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가 최소 16GB 이상이시고 고사양 시스템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 과정이 딱히 필요가 없겠지만 그래도 무의미한 작업 스케줄러로 인해 메모리가 손해보고 있다면 그건 그것대로 억울합니다. 또한 이런 불필요한 작업 때문에 CPU 점유율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한번 손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아보도록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42B495DCD059730)
먼저 윈도우키 + R을 눌러서 control schedtasks 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작업 스케줄러 실행 명령어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D77495DCD05982A)
작업 스케줄러 창이 떴습니다. 여기부터는 설정할 부분이 다소 많으니 차근차근 여유를 가지고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로컬 경로부터 찾아 들어갑니다.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 > Microsoft > Windows > Application Experience
그리고 오른쪽에 나와 있는 항목의 모든 부분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먼저 Application Experience 안에 있는 항목은 모두 세가지 입니다. 참고로 이 다음 설정에 대한 경로는 위의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위치만 바뀝니다. 나머지 상위 경로는 동일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0B7495DCD05982D)
이제 해당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간단하지요? 3개 모두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5BD495DCD059929)
이렇게 변경해 주시면 완료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065495DCD059A2F)
다음은 Autochk 부분입니다. 상위 경로는 위와 동일합니다. 들어가셔서 Proxy 부분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FAF495DCD059A32)
그리고 Customer Experience Improvement Program 에 대한 두 가지 항목도 모두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50C495DCD059B30)
Diagnosis에 있는 두 가지 항목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6DF4E5DCD059C08)
DiskDiagnostic에 있는 두 가지 항목도 모두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B65D4E5DCD059C05)
Maintenance에 있는 WinSAT 항목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E3B4E5DCD059D23)
Power Efficiency Diagnostics에 있는 AnalyzeSystem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31B4E5DCD059D01)
다음은 아래의 경로입니다.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 > Microsoft > XblGameSave
이곳에 있는 XblGameSaveTask에 대한 상태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윈도우를 재시작 해주시면 깔끔하게 적용 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