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4강좌] 언리얼기초! 머티리얼 물결효과 만들기
이번시간에는, 일렁일렁 거리는 느낌 있죠???
마치 물결처럼 표현하는, 물결효과를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느때보다, 다소 블루프린트에서 적용하는게 좀 복잡 할 수 있으니까
이번에는 두눈 바짝 뜨고 잘 따라해 주시길 바래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7F13955F0084408)
자! 언리얼4 엔진! 사용할수록 매우매우 새로운데요,
지금 한창 흥미에 휩싸였을때 바짝 해두지 않으면 아니됩니다요 ㅋㅋㅋ
본 강의는, 앞서서 했던 언리얼 수업들을 처음부터 차례로 보셔야 다소 이해가 편리하실 겁니다.
오른쪽에 언리얼엔진 카테고리를 통하여,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4D603755F008B921)
자, 새로 프로젝트를 만드셔도 되구요,
기존에 쓰셨던 프로젝트 중 아무거나 하나 불러오셔서 작업하셔도 됩니다.
우선, 콘텐츠 폴더에 저는 Study 라고 폴더를 만들었구요,
여기에 TGA 파일의 텍스쳐로 쓸 파일들을 드래그해서 넣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D3A3755F008BA33)
이제, 머티리얼을 새로 하나 만들어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0D93755F008BB30)
이름은, NEW_01 로 만들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74A3755F008BE13)
방금만든 머티리얼을 더블클릭하여, 머티리얼 에디터를 활성화하고,
블루프린트에 드래글해서 텍스쳐샘플로 등록시켜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D4D3755F008BF2A)
머리티얼 정보의 블랜드 모드와 쉐이딩 모드를 위의 스샷처럼 바꿔주세요.
이것은 머티리얼 이펙트를 만들때의 필수 요소가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F3A3755F008C032)
자, 그리고 새로운 블루프린터에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데,
우선 왼쪽의 멀티플라이는, 키보드의 M 을 눌러서 마우스클릭하면 생성이 되고,
Lerp는 L을 누른 상태로 클릭해서 만들어 주면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7333755F008C12D)
그리고,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Vertexcolor를 검색해서 넣어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7074255F008C309)
오른쪽에서 검색으로 드래그해서 넣을수 있는건 다들 이제 아시죠?
이번엔 Dynamic 을 검색해서 다이나믹 파라미터를 넣어주세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06E4255F008C41D)
TexCoord 도 넣어주세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2F44255F008C51A)
하나 더 넣어주세용^^
아니면 TexCoord 를 선택하고, Ctrl + W 하시면, 같은 스크립트가 바로 복제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FEB4455F00B4E1C)
자, 이렇게 연결이 되었습니다.
다소 복잡해 보이겠지만, 이렇게 연결을 해주세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1FA4255F008C83A)
그리고, 바로뒤에 이렇게 연결이 되어있는데,
Add 는, 키보드의 A를 누르고 클릭해서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EE54255F008CA2D)
이건 숫자키 1을 누르고 클릭해서 만들어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3774255F008CB29)
그러면, 밸류값을 설정이 가능한데, 이렇게 수치를 직접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CA94455F008CD24)
자, 이부분에 이렇게 더 추가를 해서 노드연결을 해 주시면 됩니다.
0.3은 수치를 0.3으로 준 것이고, 멀티플라이 스크립트는 3개를 만들면 되겠지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D044455F008CF33)
이어서, 멀티플라이 스크립트 추가로 2개 더 만들었고,
밸류값을 주는 스크립트 (숫자1 누르고 클릭해서 생성) 2개 더 만들었고,
이제 남은 텍스쳐샘플을 저렇게 연결을 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2414455F008D011)
그리고, Panner 를 검색해서 등록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ED54455F008D231)
하나 더 넣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D5C4455F008D424)
TexCoord 도 넣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6B74455F008D61B)
이렇게 만들어 주세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53E4455F008D62B)
자, 최종적으로, 언리얼에서 물결효과를 만드는데 블루프린트가 이렇게 쓰이게 되었습니다.
헐....생각보다 많네요 +_+;;;
지금부터, 물결이 잔잔히 흐르도록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1F54655F008D817)
자, 끝에있는 TexCoord 의 수치를 0.5를 주세요.
참고로, 이건...뭐 특별히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그냥 주석 처리랑 같은 역할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F624655F008DB0B)
그리고, 저기 Panner 의 Speed X 와 Y의 값을 저렇게 주세요.
꼭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원하시면 수치를 바꾸셔도 되는데, 단....심하게 주진 마세용~!
Panner의 역할이 바로, 맥스에서 UV 애니메이션을 주는 그런 역할을 하게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4AB4655F008DD23)
이번엔, 아래에 있는 Panner를 저렇게 수치를 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4324255F00D3B04)
당장은 미리보기에 안보이는데, 저렇게 플랜으로 뷰를 바꿔주면, 일렁거리는 텍스쳐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4E84555F00D5A0E)
0
이렇게 일렁일렁~ 거리는 물결효과가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언리얼에서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자, 실험용으로 박스를 납작하게 만들고 한번 거기에 방금만든 NEW_01 을 드래그해서 넣어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F7B5055F00D9F03)
0
오호~ 멋지게 적용됩니다^^
훌륭하네요 언리얼!! 이런 리얼하지 않은 엔진같으니!!! +_+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리얼하지않은 언리얼수업! 앞으로도 계속 업로드 하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0E54B55F00E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