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 태그의 :not 이므로 ~이 아니다 라는 뜻이 됩니다. 여기에 (:last-child) 이므로 마지막 요소는 "~이 아니다" 라는 의미가 됩니다. 마지막에는 ::before 가 들어갔으므로 li 의 앞에 가상요소를 적용시킨다는 뜻이 되지요. {} 안의 내용을 살펴보니, # 기호가 적용됨과 동시에 오른쪽으로 5px 떨어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제 한 마디로 표현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li의 맨 앞쪽에 #을 오른쪽으로 5px 떨어뜨려 적용을 시키는데, li의 마지막 요소에는 적용을 시키지 않는다.
그래서 결과 화면을 보시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보시면 마지막 li 의 텍스트에만 #이 빠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가상요소를 이용할 때에도 not 을 활용해서 특정 선택자 부분에만 적용이 되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응용해서 자신만의 멋진 스타일을 완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