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한창 방방 뜨고 있는 가운데, 혹시라도 비트코인으로 거래를 받게 될 경우를 생각해서 비트코인 지갑이라는 것을 한번 만들어 보려고 한다. 무료이며 공식 한글화가 진행되었기에 전혀 만드는데 어려움은 없다. 다만 인증절차들이 좀 있기 때문에 귀찮을 뿐... 보안을 위해서라면 이 정도 시간투자는 기꺼이 할 수 있다.
피가되고 살이되는 블로그, 친절한효자손 취미생활!
글, 사진 및 이미지 ▶ CopyLeft(C) 유길용
#CopyLeft(C) 는 저작권의 반대개념으로, "모든것을 공유한다" 는 뜻 입니다#
#공유라는 개념은 그대로 복붙하시라는 개념이 아니라, 내용을 응용해서 가져가시라는 말씀입니다#
#사진과 이미지의 일부는 퍼온것도 있음을 밝힙니다#
누구나 만들 수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지갑, 블록체인에서 만들자!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15D4D59538C2412)
비트코인은 온라인 가상화폐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지금은 투자자들을 모집하는 기간인지라 그런지 언론에서도 많이 떠들고 있으며 아직 비트코인으로 할 수 있는 건 크게 없지만, 미래에는 분명 비트코인이라는 가상 화폐로 다양한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다들 떠들고 있다. 정확한건 그 때 가봐야 아는데도 말이다. 마치 이미 미래의 일을 다 알고 있는 마냥...?!
어쨌든, 필자도 이번에 비트코인 지갑으로 수금을 받아야 할 일이 생겼기 때문에 한번 만들어봤다. 생각보다 과정은 쉽다. 만들고 나서 이후에 보안인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시간이 더 걸린다.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86A3559538E0B11)
▲https://blockchain.info/
블록체인이라함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코인에 들어가는 기술적인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지갑도 블록체인 홈페이지에서 만들면 된다. 위쪽에 지갑 이라고 하는 카테고리로 들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5FE3559538E0C15)
이제 아이디를 먼저 개설해보자. 개설과 동시에 지갑ID가 생성될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6503559538E0E22)
이메일은 기왕이면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메일주소로 사용하자. 국내용 보다는 글로벌한 구글 메일 정도면 좋을 것 같다. 비밀번호까지 모두 입력 후, 체크하고 계속을 누른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1E5A3559538E0F33)
그러면 순식간에 비트코인 지갑 ID가 개설되었음을 팝업으로 확인할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27C3559538E1110)
좀 더 디테일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로그인 후 자신의 지갑 상태를 보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3B43559538E131E)
한번더 자신의 비트코인 지갑 ID를 확인하려면, 설정 > 지갑 정보 로 들어가면 된다. 중요한건 저건 ID지, 지갑 주소가 아니다. 지갑 주소는 여기로 들어가서 확인하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D4D385953DE9010)
받기를 누르면, 이렇게 지갑주소가 나온다. QR코드로도 생성 가능하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9EE3559538E1629)
아무래도 비트코인은 중요하기 때문에 혹시 해킹당할라 우려가 된다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레벨 1부터 레벨 3까지 있다. 왼쪽의 보안센터를 클릭하면 설정이 가능하다. 하나하나 눌러서 설명에 나오는 것 처럼 따라하면서 설정하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3433759538E1724)
레벨 1단계는 이메일 인증이다. 최초 만들었던 ID인 이메일로 들어가보면 인증메일이 하나 와 있을 것이다. 눌러서 인증만 하면 끝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1E03759538E1909)
이렇게 말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3C53759538E1A03)
백업 복구 구절이라는건, 무작위로 자신만의 키워드가 12개가 나온다. 은행으로 비유하자면 보안카드와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7D63759538E1C1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0F23759538E1D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C283759538E1E2D)
이렇게 다음 버튼을 누르면서 12개의 키워드를 외울 수 있다면 외우셔도 되지만, 암기력이 자신이 없다면 메모장에 붙여넣어두면 된다. 단! 순차적으로 작성하자. 이 다음 랜덤으로 배정받는 번호의 키워드를 총 네개 입력해야 하기 때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0AC3759538E201D)
이렇게 첫단어, 열두번째, 세번째, 일곱번째 단어를 요구한다. 이것은 랜덤이므로 해당 번호에 맞는 키워드를 잘 입력만 해주면 된다. 어렵지 않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01C3959538E2128)
정상적으로 입력하면 완료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F893959538E252E)
혹시라도 보안에서 뭔가 수정할 사항이 있다면, 이렇게 설정 > 보안에 가서 추가 수정을 할 수 있다. 이제 비트코인 지갑은 모두 완성되었으니 비트코인은 캐거나(마이닝) 구매하게 되면 지갑ID를 요청할 수 있는데, 해당 항목에 자신의 지갑ID만 정상적으로 입력하면 되겠다. 꽤 긴 ID니까 한번 더 오타는 없는지 확인하고 잘 입력하자.
참고로, 비트코인을 바로바로 현금화 해서 출금을 원한다면, 블록체인 지갑에서는 불가능하고 거래소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한번 더 거래소 지갑을 만들어서 이체를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도 안전하게 보관하려면 당연히 블록체인이 확실하므로, 현금이 필요할 때에만 이체를 할 수 있도록 하자. 끝.
블록체인 지갑 VS 거래소 지갑 어떤걸로 비트코인을 거래하면 좋을까?
비트코인 이더리움 때문에 그래픽카드 가격 인상?! 중고시장을 노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