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콤 신티크 컴패니언2 에도 확장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데, 일반적인 샘김새가 아니다.
그러하다. 이것은 미니디스플레이포트 (Mini Display Port) 라고 하는 인터페이스 이다.
보통 맥 시스템에서 많이 볼 수 있고, 요즘 나오는 그래픽카드에도 일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양이 괜찮은 모니터에서도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244485705E22931)
피가되고 살이되는 블로그! 친절한효자손의 취미생활!
글, 사진 및 이미지 ▶ CopyLeft(C) 유길용
#CopyLeft(C) 는 저작권의 반대개념으로 "모든것을 공유한다"는 뜻 입니다#
신티크 컴패니언2 에도 미니디스플레이 포트가 존재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B39355706292A08)
맥북에 보면, 저런 단자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이 미니 디스플레이포트 인터페이스 이다.
그리고 이것은 신티크 컴패니언2 에도 있고, 서피스프로에도 존재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B15355706292B08)
이렇게 생겼다. 사이즈가 생각보다 작다.
그래서 Mini 를 앞에 붙여 사이즈가 작은 DP 라고 불리우며, 일반적인 사이즈는 그냥 디스플레이포트 라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0318355706292C1C)
구별해 놓으면 대략 이러하다.
이것은 미니디스플레이포트를 디스플레이포트로 변환하는 케이블 이다.
만약 모니터에 DP 단자가 있다면, 이것을 활용해서 신티크 컴패니언2를 연결할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129355706292D28)
또는 보시는 것처럼 그래픽카드 단자쪽에 이렇게 DVI / HDMI / Display Port 단자가 존재한다면,
일반형 디스플레이포트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모니터로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모니터에도 DP 단자가 있으면 말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C4C355706292F20)
그러면, 신티크 컴패니언2를 외부모니터로 연결하기 위한 첫번째 과정은? 그렇다.
미니디스플레이포트를 HDMI 로 바꾸는 변환젠더가 필요하다.
왜 HDMI 변환젠더가 필요한 것인가?
사실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치만 서두에서 살짝 언급했다시피...DP 보다는 HDMI 가 대세이다.
요즘 모니터들을 살펴보면 DP가 없는 모니터는 꽤 많다. 그치만 HDMI 는 기본적으로 다 있다.
그래서 사용을 많이 하는 HDMI 변환젠더를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A5C35570629312D)
자, 이렇게 지식쇼핑으로 검색을 하면, 이런 변환젠더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몇가지 추가설명을 더 하자면, HDMI도 버전이 있는데, DP도 마찬가지로 버전이 있다.
이 버전의 차이는 말 그대로 하드웨어의 성능차이로, 요즘 한창 인기몰이인 4K UHD 해상도의 지원 유무가 있다.
1.1a 그리고 1.2 까지 나온것으로 아는데, 어차피...필자가 쓸 모니터가 UHD가 아니므로...크게 상관은 없겠다.
게다가 현재 국내에서 제조해서 파는 DP 1.2 제품들은 호환성의 문제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
각 제조사의 정품 DP 케이블을 써야 크게 별 문제가 없지 않을까 싶은데...비싸서 탈이다.
여튼 이제 배송이 되었으니, 구매후 신티크 컴패니언2를 한번 듀얼구성을 해 보도록 하겠다.
검색 포털사이트 에서 "친절한효자손 취미생활" 을 검색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