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PC의 성능을 알아보고 싶다면 아무래도 무언가 기준점이 필요하다. 오늘날에는 3DMark 라고 하는 프로그램이 그 기준이 되었다. 언제 또 바뀔지 모르겠지만, 당분간은 3D마크가 이 역할을 해낼것이다. 3DMark 프로그램에서 가장 대표적인 테스트는 널리 알려져 있는 Fire Strike (파이어 스트라이크) 라고 하는 테스트다. 가장 보편화된 테스트로, 그래픽카드에 과부화를 줄 만한 게임 렌더링 기술을 걸어서 얼마나 일을 잘 처리하는지에 대한 테스트라고 보시면 되겠다. 그래픽카드가 괜히 고장이 나지 않을지 걱정하시는 분들도 계신데,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를 실행하고 그래픽카드가 고장난다고 한다면, 어차피 해당 그래픽카드는 수명이 다 한것임을 직시하고 새로 구매하시는것을 추천한다. 결코 이 프로그램을 돌린다고 해서 기기 고장이 나는 일은 거의 없다는 사실을 알고 테스트에 임하자.
흔히 이것을 벤치마크 점수라고 표현을 한다. 이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PC이며, 고사양의 게임도 거뜬히 돌릴 수 있음을 뜻한다. 하지만 기기는 결국 프로그램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즉 OS의 세팅 상태, 최적화 상태에 따라서 점수는 변동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객관적인 점수라고 보기는 어렵다. 드라이버도 무조건 최신 버전이 좋은것이 아니듯, 어떤 프로그램의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느냐도 점수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보시면 된다.
3DMark 관련 소프트웨어의 서비스가 스팀(Steam)으로 이관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팀을 기본적으로 설치 후 로그인이 완료 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번거롭다면 네이버 자료실에 있는 버전을 사용하면 됩니다. 구버전이긴 하지만 벤치 테스트하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최신 버전의 하드웨어인 경우는 사양을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런 경우라면 어쩔 수 없이 최신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3D Mark 다운로드 (네이버)
네이버 자료실에서도 구버전의 3DMark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아래의 링크를 방문하여 다운받도록 하자.
3D Mark 다운로드 (TechPowerUp)
외국의 테크파워업이라고 하는 사이트에서도 3D마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자료실과는 다르게 여기는 그나마 최신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6953D5FEB1CF22B)
위의 링크로 들어가시어 왼쪽에 있는 Download 버튼을 눌러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77F3D5FEB1CF22B)
그러면 서버를 선택하는 버튼이 나온다. 외국 사이트들은 속도가 국내보다 느린 편이기 때문에 6GB가 넘는 3DMark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꽤 오래 걸린다. 아무거나 마음에 드는 서버를 선택하자.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풀고 설치하면 된다.
3D Mark 다운로드 (스팀)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23D3C5FEB1DDE29)
먼저 3DMark Basic 버전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위의 사이트로 들어오시면 된다. 윈도우 버전은 스팀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안내가 되고 있다. 어쩔 수 없다. 스팀 ID가 없다면 생성 후 로그인을 하도록 한다. 또한 스팀 전용 실행 프로그램도 설치를 해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22D395FEB1E052A)
스팀 설치 완료가 되고 로그인이 완료되면 3D Mark 체험판(DEMO) 버전을 설치해준다. 용량이 좀 되지만 스팀 서버는 꽤 빠른 편이다. 설치 완료 후 3D Mark를 실행해보자.
3D Mark 간단 사용 방법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A94365A30DE5C35)
테스트는 크게 두 가지로 진행한다. 하나는 서두에서 언급했던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다른 하나는 요즘 새롭게 출시된 Time Spy (타임 스파이) 라고 하는 테스트다. 우선 파이어 스트라이크는 뭐 워낙 유명하니 크게 설명은 드리지 않도록 하겠다. 파이어 스트라이크 테스트는 DirectX11 (다이렉트엑스11) 기술과 그래픽카드의 성능 테스트라고 보시면 되겠고, 타임 스파이는 다이렉트X12 버전과 그래픽카드, 여기에 CPU까지 이용한 테스트다.
근데 매니아들 사이에서 이 테스트의 공정성 논란이 뜨겁다. 친절한효자손은 자세한 내막까지 파악할 정도의 지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이 테스트의 맹점 중 하나가 "사용자의 드라이버에 따라 테스트가 달라진다" 라고 개발자가 언급한 내용이다. 이 말뜻은 객관적인 하드웨어 테스트를 벗어나, 얼마든지 프로그램 세팅 상태에 따라 점수가 바뀐다는 뜻이 되므로, 100% 하드웨어 테스트 프로그램이라는 뜻에서 어긋나는 샘이다. 그래서 앞에서 말씀드렸듯 OS 상태, 드라이버 상태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씀드린 부분이기도 하다. 뭐... 정 그러하면 까지꺼 이 테스트는 생략하고 파이어 스트라이크만 하면 되니까 크게 상관은 없다.
또한 3DMark는 유료 프로그램이다. 베이직 버전만 딱 기본 테스트를 할 수 있고 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렇게 자물쇠로 잠긴 테스트는 모두 유료 버전에서 진행해야 한다. 딱히 이렇게까지 테스트를 해야 할 이유는 일반 유저분들에게는 거의 없기에 Fire Strike 기본 테스트만 진행해본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9B9365A30DE5D3E)
3DMark에서 파이어 스트라이크(Fire Strike)를 선택해준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573365A30DE5F34)
그리고 RUN을 눌러서 프로그램 테스트를 진행한다. 대략 테스트 시간은 5~8분 정도 소요된다. 테스트 시간은 PC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양에 따라 변동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C183C5A30DE88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9A03C5A30DE8930)
첫번째 테스트다. 엄청난 파티클과 그래픽 이펙트가 난무하기 때문에 렌더링이 어마어마할 것이다. 그래픽카드는 이 모든 것들을 계산해서 화면에 뿌려줘야 하는 작업을 해야한다. 힘내거라!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3AC3C5A30DE8B3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16D3C5A30DE8C1A)
다음, FPS관련 그래픽테스트를 진행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6A73C5A30DE8D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A683C5A30DE8E27)
마찬가지로 또 한번 진행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53D3C5A30DE8F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56B405A30DE9038)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합친 테스트가 한번 더 진행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BC7365A30DE61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4B0365A30DE622F)
점수는 약 14000점이 나왔다. 역시 GTX1080은 위대했다. 어마무시한 점수다! 이미 게이밍 랩탑 그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성능 게임도 문제없다. 다만 4K 이상 해상도의 게임은 다소 무리일 수 있겠다. 이런식으로 통계를 보고 자신의 현재 PC레벨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7B1345A30DEF20B)
다음은 타임 스파이(Time Spy) 테스트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49A345A30DEF307)
테스트 방식은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거의 동일하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C20345A30DEF42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B08345A30DEF536)
프레임을 측정한다. 과부화를 걸어서 말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3CC345A30DEF63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016345A30DEF71B)
또 한번 테스트를 진행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F83345A30DEF82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FA1405A30DEF934)
그리고 CPU의 성능까지도 테스트한다. 이 테스트에서 FPS가 엄청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역시...CPU도 성능이 좋아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46B415A30DE64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5E5415A30DE6629)
종합점수는 그래도 쏠쏠하게 나왔다. 이 모든것이 GTX1080의 은총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블랙프라이데이때 득함한 아이템 중 하나인데 당분간 사랑하며 사용하게 될 것 같다.
어느정도 객관적인 테스트는 보장하지만, 절대적인 결과물은 아니므로 그냥 그런가보다 하시고 넘어가시는게 좋겠다. 그냥 재미로 한번쯤 해보는 정도로 해보시면 좋을 것 같다. 아니면 내 그래픽카드는 분명 GTX1080인데, 아무리 테스트를 해봐도 평균적인 1080대의 점수가 아니라고 한다면 기기 결함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점수 차이가 심하게 벌어진다면 이런 경우 A/S를 시도해보는 척도로 쓰면 좋은 3DMark 벤치마크 테스트 프로그램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