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효자손 취미생활

인트로

아시나요? 전 이제 블로거의 삶을 잠시 서브로 돌리고 이제 직장인이 되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직장까지는 지하철이 한 방에 도달하기에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매일 출퇴근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계산해 봤습니다. 한 달 교통비가 대략 얼마인지를 말입니다. 저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일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 달 평균 25일 정도를 일한다고 가정하면 교통 왕복비가 3천원 정도이니 약 75,000원이라는 금액이 교통비로 지출된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좀 쌔군요.

 

K-패스 카드

그래서 이 카드를 만들었습니다. K-패스 카드를 말입니다. K는 코리아, 즉 한국을 뜻하고 패스는 뭐 아시죠? 하이패스의 그 패스입니다. 즉 K패스카드는 저같은 직장인분들을 위한 필수 카드인 것입니다.

 

https://korea-pass.kr/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K패스 카드는 크게 두 종류입니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죠. 참고로 K-패스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매월 얼마를 써야하는 그런 조건이 필요 없습니다. 그래서 전혀 부담갖지 않아도 됩니다. 카드 종류는 위의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관심이 있으시면 한번 확인해 보세요.

 

K-패스 가입 방법

일단 가장 먼저 할 일은 K패스 카드를 만드는 겁니다. 저는 신용카드를 이미 사용하는게 있기도 하고, 더 이상 신용카드를 늘리기 싫어서 체크카드를 선택했습니다. 다행히 주 은행으로 사용중인 하나은행에서 발급 가능한 K-패스 체크카드가 있더군요. 아시다시피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대부분 가능한 시대! 하나은행 앱으로 바로 K-패스 카드 신청을 해서 2일 뒤에 받았습니다. 참 빨라요.

 

K-패스 카드를 만들었다면 본문 위에 링크한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정식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카드를 먼저 만든 이유가 바로 이거죠. K패스 카드가 없으면 정회원 가입 진행이 되지 않거든요. 회원 가입 과정중에 K카드의 카드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발급받으신 K카드의 카드 정보를 올바르게 입력하시면 회원 가입이 완료될 겁니다. K-패스 카드를 등록 완료하셨다면 이제부터 열심히 대중교통을 이용하실때마다 K-패스 카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K패스 어플리케이션도 있습니다. 홈페이지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어요.

 

삼성페이(삼성월렛) K-패스 카드 등록 방법

그냥 실물 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무 문제없이 카드를 태그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저는 지갑을 안 들고 다닙니다. 한국에서는 삼성페이로 왠만한 결재는 다 할 수 있으니까요. 심지어 교통카드도 되고요. 따라서 K-패스 교통카드를 삼성페이와 연결시켜 보겠습니다.

 

삼성페이를 실행합니다. 아! 참고로 이제는 삼성페이가 삼성월렛에 통합되었어요. 따라서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중이시라면 삼성월렛(Samsung Wallet) 앱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맨 아래의 전체 탭을 터치 후 교통카드 추가로 들어갑니다. 지금 제 경우에는 이미 등록이 완료된 상태이니 참고만 하세요. 교통카드는 아마 두 종류로 나올겁니다. 티머니와 EZL(이즐) 이렇게 두 개죠. 이즐의 경우에는 체크카드는 등록이 안 되니 왠만하면 티머니로 진행하세요. 티머니를 선택하면 다음 과정은 결제 방식 선택입니다. 당연히 후불이 편해요. 이용한 만큼만 지불하면 되는 방식이니까요. 후불을 선택해 줍니다.

 

이제 카드사를 선택합니다. 여러분들께서 발급받으신 카드사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K-패스 카드를 선택해주면 끝입니다. 간단하죠? 참고로 매달 1회만 K-패스 카드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즉 한 달에 두 번 이상 K-패스 교통카드 변경은 어렵습니다. 2회 이상 변경시에 오류가 뜹니다. 이제 여러분들의 스마트폰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면 K-패스 카드로 결제가 될겁니다.

 

교통비 환급

K-패스 카드를 개설 후 이용한 시점부터 바로 교통비 적립이 시작됩니다. 저는 8월 중순에 만들어서 이용을 시작했고 9월부터 직장 생활을 하면서 본격적인 사용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9월 이용 내역을 보시면 이용 횟수는 총 41회이며 이용 금액이 65,000원이라고 나오죠? 여기에서 20%가 제가 받는 환급금입니다. 즉 65,000원의 20% 이므로 계산해 보시면 13,000원이라는 금액을 돌려받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환급금은 다음의 규정에 의해 나뉩니다.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도 나와 있습니다.

 

일반 : 20%

청소년 : 30%

저소득 : 53%

 

저는 애석하게도 일반인 신분이라 20%만 환급을 받습니다. 그래도 사용 금액의 5분의 1이나 환급을 받으니 생각보다 꽤 많이 돌려받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면 꼭 K-패스 카드를 사용해 보세요. 자세한 환급 정책은 아래의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https://korea-pass.kr/info/use_accm.do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마무리

K-패스 카드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있어서 꼭 필요한 필수 카드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발급 받으시는걸 추천합니다. 생각보다 페이백 금액이 짭짤합니다. 고물가 저임금 시대가 가속화되는 요즘, 한 푼이라도 아끼는게 모든 분들의 관심사일텐데 이런 K패스 카드의 존재조차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꽤 계시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글로 널리 알리는 바입니다. 아직 이용 안하고 계신다면 바로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끝.

공유하기

facebook X kakaoTalk naver band